Skip to search formSkip to main contentSkip to account menu

Flamella sp. WB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apers overview

Semantic Scholar uses AI to extract papers important to this topic.
2016
2016
Assalamu’alaikum Wrt Wbt, Alhamdulillah nahmaduhu wanasta’iinuhu wa nastahdih wa nastaghfiruh. Wana’uudzu billahi min syururi… 
2016
2016
Welbevinden en psychische klachten zijn twee verschillende, elkaar aanvullende indicatoren van geestelijke gezondheid. Reguliere… 
2015
2015
Achtergrond : Sinds maart 2014 loopt er bij het Centrum voor Psychotrauma, onderdeel van Mediant GGZ, een gerandomiseerd en… 
2014
2014
Biobriket dari limbah padat pengolahan kelapa sawit merupakan salah satu sumber energi terbarukan yang potensial, mengingat… 
1998
1998
본 연구는 원격교육의 시각에서 가상토론이 대면토론을 대치하기 위한 실증적 결과를 얻기보다, 실제 대학교육의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가상토론이 어떻게 활용될수 있는가를 학습자의 성격유형에서 찾기 위한 의도에서 실시되었다. 즉, 본 연구의목적은 대학교육에서 내향성/외향성의 비동시적 가상토론 효과에 대한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가설을 수립하였다. 1) 비동시적 가상토론에서 내향성은 외향성에 비해 보다 참여시간이 보다 길 것이다. 2) 비동시적 가상토론에서 내향성은 외향성에 비해 보다 자주, 보다 많은 견해를 제시할 것이다. 3) 내향성은 외향성에 비해비동시적 가상토론의 특성을 동일하게 인지하지만,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4) 비동시적 가상토론은 외향성보다 내향성이 감정적 정보를 교류하는데 도움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1학년으로 재학 중인 2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자들에게 비동시적 가상 토론을 제공하기 위해 WBT Systems의 Top Class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가상토론은 12일간 지속되었다. 학습자들의 내향성/ 외향성은 MBT I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토론참여시간, 의견제시 수, 의견의 길이 등이 프로그램에 의해 수집되었고, 가상토론의 특성에 대한 인지와 기여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비동시적 가상토론에서 내향성은 외향성에 비해 동일한 참여시간을 보인 반면, 보다 많은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향성은 외향성에 비해 가상토론의 특성 인지와 토론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인지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동시적 가상토론이 내향성/외향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으며, 이러한 결론이 내려지기 위해서는 보다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