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search formSkip to main contentSkip to account menu

Astriclype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apers overview

Semantic Scholar uses AI to extract papers important to this topic.
2002
2002
부정형성게류인 구멍연잎성게는 제주도 연안에 널리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학적 연구들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구멍연잎성게의 행동학적 연구로서 먹이섭취, 서식밀도 및 이동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시료는 제주도의 북동쪽에 위치한 함덕에서 SCUBA를 통하여 채집 및 현장에서 직접 관찰하였다. 장내용물 관찰 결과, 장내 퇴적물 입자의 평균 입도조성은 77.6±22.2 μm였다. 장 내용물은 유공충, 저서성 요각류, 선충류, 규조류, 알, 해조류의 파편, 골편 등의 동식물 플랑크톤으로 구성되었다. 구멍연잎성게의 서식밀도는 1m^2당 0.4개체이며, 분포패턴은 임의분포(random distribution)에 기초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X^2=85.16, P>0.05). 구멍연잎성게의 이동거리는 여름철인 1998년 8월에 6.2∼64.8 cm hr^-1 (mean = 25.0±13.9)이었고, 5월에는 2.O~43.Ocm hr^-1(mean=17.7±10.7)로 8월에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여름기간 중 관찰된 비교적 빠른 이동속도는 먹이 섭이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