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인터뷰가 전혀 없는 경우도 있지만 인터뷰가 있는 경우 연출자는 인터뷰를 활용하여 본인의 주장을 제시하고 관객들이 그 것을 따르게끔 유도한다. 인터뷰는 인물 중심의 다큐멘터리에서 전반적인 내용을 이끌어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어떤 연출가는 일반 대화 형식의 인터뷰 스타일로서 연출자의 질문과 인터뷰이의 답변이 모두 드러나는 형식의 인터뷰를 선호한다. 반대로 연출자의 질문은 배재된 채 인터뷰이의 답변으로만 스토리를 전개시켜나가는 방식을 채택하는 연출자들도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서는 윤리적 쟁점이 항상 중심이 되고 “사실”을 토대로 한다는 전재가 있기 때문에 다큐멘터리가 지니고 있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과장되거나 조작될 수 있는 부분은 존재한다. 또한 다큐멘터리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끊임없이 논의되고 있지만 이러한 인터뷰가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언급은 찾아보기 힘들다. 실제로 두 종류의 다큐멘터리는 인터뷰 연출 방식에서부터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점이 어떤 측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다큐멘터리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클 무어 감독의 (2002)과 (2007), 크리스 마르케 감독의 (1963), 그리고 찰스 퍼거슨 감독의 인사이드잡(2010)을 바탕으로 인터뷰에서의 감독의 질문 형태를 분석하고 감독의 목소리가 개입이 될 경우 인터뷰의 흐름이 어떤 방식으로 바뀔 수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반대로 감독의 목소리가 배제된 채 인터뷰이의 말로만 내용이 구성되어있는 김일란과 홍지유 감독의 (2011)과 Jim Butterworth, Aeron Lubarsky, Lisa Sleeth 감독의 (2005), 그리고 팀 헤더링톤과 세바스찬 정거 감독의 (2010)에서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디졸브, 교차편집, 플래시백 등의 편집 기술이 감독의 주관적인 입장을 어떻게 대변하는지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표현 양식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