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search formSkip to main contentSkip to account menu

Aeromonas sp. YQ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apers overview

Semantic Scholar uses AI to extract papers important to this topic.
2014
2014
This paper tries to address the question that if the long run PPP holds, then there should exist a structural model which can… 
2004
2004
목적 : 산전 염색체 검사상 표지염색체가 관찰되는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한 지침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표지염색체의 기원을 알기 위한 순차적인 진단적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 월경주기와 임신 첫 삼분기 초음파 검사상 제태연령 19주인 태아로 모체혈청삼중표지자 검사 소견상 다운 증후군 고위험군 소견을 보여 양수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NOR banding을 시행하고, chromosome X α satellite probe (DXZI) & chromosome Y α satellite probe (DYZ3) (Cy-tocell, Bambury, UK)와 CEP X/Y (Xp11.1-q11.1 CEP X α satellite & Yq12 CEP Y satellite III)(Vysis, IL, USA) 두 종류의 성염색체 표지자를 이용하여 형광동소보합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염색체 검사 결과 46,X,+mar 소견을 보였다. NOR banding에서 표지염색체는 염색되지 않아 그 기원이 끝곁매듭염색체일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형광동소보합법 결과 표지염색체에 Y 중심절 signal이 관찰되었고 Yq12 signal은 관찰되지 않아 Yq11.2 부분부터 결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색체 검사 시 표지염색체가 관찰되는 경우 NOR banding과 FISH를 이용한 순차적 검사가 보다 효과적 진단 방법으로 생각된다.